PC관련 잡동사니

qgis에서 엑셀(csv파일)로 벡터파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yhat 2018. 12. 23. 23:37



1. csv 파일 만들기

 포인트 x, y 좌표 입력만 해도 됨

  wkt 폼은

 

POINT(43.71632 -8.14070)

 

LINESTRING(43.70911,-7.85522 43.70911,-7.84973)

  "POLYGON ((153.101112401 -27.797998206, 153.097860177 -27.807122487, 153.097715464 -27.8163131, 153.100598081 -27.821068293, 153.103789404 -27.825046709, 153.106078824 -27.830224804, 153.108248251 -27.836106915, 153.110692137 -27.837863953, 153.116288014 -27.840655525, 153.119923205 -27.844817942, 153.122317372 -27.853523235, 153.127785181 -27.851776938, 153.131234286 -27.851150309, 153.135634115 -27.849740655, 153.138235543 -27.848667877, 153.141702556 -27.847075291, 153.152204703 -27.844959644, 153.15548911 -27.843380913, 153.158613317 -27.841545667, 153.161936609 -27.84058971, 153.156360679 -27.838491612, 153.15709719 -27.834509947, 153.150360063 -27.83270459, 153.151126372 -27.827536316, 153.151689864 -27.822563851, 153.14849171 -27.820801492, 153.148374771 -27.817968784, 153.139018666 -27.81580407, 153.139814105 -27.808556369, 153.126485712 -27.805759965, 153.124678962 -27.803584281, 153.120764096 -27.80295276, 153.121396647 -27.797353389, 153.100468927 -27.793620173, 153.09982846 -27.793327332, 153.101112401 -27.797998206))"


2. 레이어 / 레이어 추가 /구분자로 분리된 텍스트를 레이로 추가

 실행시켜 파일을 등록하면 레이어가 추가됨

3. 편집가능하게 하려면  레이어 판넬에서 csv로 추가된 레이어찍고 마우스우클릭하여 다른이름으로 저장하여

   shp파일형태로 저장하면 복사된 레이어 생성되며, 편집가능상태가 됩니다..


 

   




   좌표계 참고

    1. 우리나라

  • 일제시대 우리나라 삼각점의 평면직각좌표는 크게 서부좌표계, 중부좌표계, 동부좌표계 등 3개의 직각좌표계로 나뉘어져 각각 가우스 상사이중투영법에 의하여 계산
  • 현재 지도제작에 있어서는 TM 투영법(가우스-크뤼거 투영법)에 의해 좌표를 전개함
  • 가우스 상사이중투영법과 TM투영법의 좌표차이가 수 cm 이내이기 때문에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무시하고 있음
  • 측량법에는 우리나라의 직각좌표는 TM 투영법에 의하여 표시한다고 규정
  • 우리나라의 평면직각좌표계는 공식적으로 위의 3개 직각좌표계로 규정되었으나, 울릉도 지역은 동부좌표계의 적용범위 밖에 있어 실질적으로는 또 하나의 직각좌표계를 사용함
  • 2002년 측량법 시행령 개정을 통하여 동해좌표계를 새로이 추가하여 명문화함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의 직각좌표계는 표와 같이 4개로 구분되고 있음
명칭원점의 경위도적용구역
서부좌표계125 00 00 E, 38 00 00 N124 E 126 E 구역 내
중부좌표계127 00 00 E, 38 00 00 N126 E 128 E 구역 내
동부좌표계129 00 00 E, 38 00 00 N128 E 130 E 구역 내
동해좌표계131 00 00 E, 38 00 00 N130 E 132 E 구역 내

< 우리나라 평면 직각좌표계의 원점 >

  • 우리나라의 평면직각좌표계는 TM 투영법의 적용에 있어서 각 중앙자오선으로부터 동서로 경도 1구간까지만 적용하고 있으며, 중앙자오선의 축척계수는 1.0000을 적용하고, 베셀타원체 크기를 적용하고 있음
  • 한국측지좌표계의 재정립 필요성 강조와 GPS 측량 확대 보급으로 2000년 4월 새로운 국가기준점체계로 전면 개편 방침 결정
  • 2001년 12월 측량법 개정을 통하여 "경위도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결정한다." 로 명시
  • 2002년 6월 측량법 시행령의 개정을 통하여 구체적인 세계측지계의 정의 및 이에 따른 한국경위도원점의 수치가 고시됨
세계 측지계의 요건한국경위도원점의 수치
1. 회전타원체의 장반경 및 편평률
- 장반경 : 6,378,137m
- 편평률 : 1/298.257222101
2. 회전타원체의 중심이 지구의 질량중심과 일치할 것 
3. 회전타원체의 단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할 것
1. 경도 : 127 03 14.8913 E
2. 위도 : 37 16 33.3659 N
3. 원방위각 : 3 17 32.195
(원점에서 서울산업대학교내 위성측지기준점의 방위각)

< 2002년 6월 측량법 시행령 개정>

  • 세계측지계의 요건은 결국 세계기준계인 ITRF 지구중심좌표계를 따르고 타원체로는 GRS80 타원체를 적용하여 경위도를 계산한다는 의미
  • 경위도 좌표의 변경은 2003년 1월부터 시행되며, 2009년까지는 기존 동경 데이텀에 의한 성과와 세계측지계에 의한 성과를 병행하여 사용하고, 2010월 1월부터는 세계측지계의 성과로 완전히 변경하여 사용하게 됨

1.위치를 표현 하는 좌표 체계
-지리좌표체계 : 지구의 구면 또는 회전 타원체 모델에서 위치 정의.3차원의 지구상에 위치를 경위도로 표현.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위도 좌표를 말하는 것이다.
위도는 적도로 부터 남북 방향으로의 각을 표현,경도는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서 방향으로 각을 표현.단위는 십진각도(° )또는 도, 분, 초(°, ' ," ) 사용

-투영 좌표체계 : 3차원을 종이나 화면스크린같은것으로 2차원 평면 상에서 나타낸것.따라서 3차원을 2차원 평면 좌표계를 사용한것이 투영 좌표체계이다.투영법에 따라 길이,면적,반향,모양 등에 왜곡이 반드시 수반된다. 

2.투영 좌표체계
-국가기본도 평면직각좌표계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1대1000,5000,25000,50000 등 국가기본도 에서 사용.원점이 4개로 원점에 따라 권역으로 구분된 불연속지도를 생성하여 인접한지역이 불일치 하는경우가 생김.
-단일 평면직각좌표계 : 일명 UTM-k라고도 하고.연속지적도에 많이 사용되었다.(하지만 현재는 지적도도 GRS80 좌표계로 가는 추세이다). 

TM 투영법은 원뿔투영같은 투영법의 종류로 원통에 지구를 투영.UTM은 미국 육군에서 만든 투영법으로 좌표계를 종횡으로 분할해서 영역 안에 맞는 투영법을 사용하는 것
   (우리나라는 UTM , 52s ZONE)





각각 TM (Transverse Mercator) 투영법을 사용하며, 적용하는 매개변수에만 차이가 있음

3.우리나라 좌표계
 한국측지계와 세계측지계의 큰 차이는 타원체와 데이텀의 변화이다.기존 한국측지계에서
 는 베셀 타원체와 Korean_1985 데이터을 사용하였으나 세계측지계에서는 GRS80 타원체와
 ITRF2000 데이텀을 사용한다.

-동경측지계 : 동경측지계는 우리나라에서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에서 지형도와 지적도 작성을 위해 채택된 측지계이며 당시 일본의 것을 그대로 연결하여 사용하였고 측량법에 세계측지계가 적용되기 이전까지 사용되고 있던 측지기준계를 말한다.
동경측지계는 벳셀(BESSEL)타원체를 채택하고 천문관측에 의해 결정된 경위도원점의 값과 원 방위각을 기준으로 구축됐다.그러나 당시의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세계측지계 기준과는 차이가 있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실제로 대삼각본점인 영도와 절영도 삼각점이 원점의 역할을 하였다.

-세계측지계 : 세계에서 공통에 이용할 수 있는 위치의 기준을 말한다.
측량의 분야에서는, 지구상에서의 위치를 경위도에서 나타내기 위한 기준이 되는 좌표계 및 지구의 형상을 나타내는 타원체를 총칭해 측지 기준계라고 한다. 즉, 세계 측지계는 세계 공통이 되는 측지 기준계를 말한다.
세계 측지계라는 말이 「세계 공통인 것」에 중점을 둔 표기인데 대해, 지구 중심계라는 말은 「좌표계의 원점을 지구 중심점」으로 중점을 둔 표현.
세계 측지계인 ITRF2000 좌표계(International Terrestrial Reference Frame:국제 지구 기준 좌표계)와 GRS80(Geodetic Reference System 1980:측지 기준계 1980)의 타원체를 사용해 나타낸다. 표고에 대해서는, 현재와 같게 인천만 평균 해면을 기준해서 나타낸다.
세계측지계의 수평 위치의 산출은, 우주 측지 기술을 구사한 VLBI나 GPS를 이용한 GPS상시관측소의 관측치에 근거해, 전국의 삼각점을 새롭게 계산을 실시해 계산한다.

여기서 ITRF계와 WGS84 차이점은 ITRF계(International Terrestrial Reference Frame:국제 지구 기준 좌표계)란, IERS(국제 지구 회전 관측 사업)라고 하는 국제적인 학술 기관이 구축하고 있는 3 차원 직교좌표계이다.이 좌표계는 지구의 질량중심에 원점을 두고 X축을 그리니지 자오선과 적도와의 교점의 방향으로 Y축을 동경 90도의 방향에 Z축을 북극의 방향으로 공간상의 위치를 X, Y, Z의 숫자의 셋트로 표현한다. 
ITRF계는 국제협력으로 구축되고 있으며 고정밀도로서 민간분야에서 구축한 것이므로 개방적입니다.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는 미국이 구축, 유지하고 있는 세계측지계이다.GPS 는 원래 군사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WGS 계로 운용되고 있다.WGS84는 지금까지 몇 번의 개정을 하여 ITRF계에 접근하고 있고 현재는 거의 동일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따라서 ITRF계는 정밀한 WGS84(precise WGS)라고 할 수 있다.
개정된 측량법에서는,위치의 표시에 지구중심 직교좌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새롭게 규정되었고 이 지구중심 직교좌표계로서 구체적으로는 2000년에 있어서의 지구 상태에 근거해 규정된 ITRF계의 좌표계인 ITRF2000 좌표계를 사용해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GRS80(Geodetic Reference System 1980:측지기준계 1980)은, IAG(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desy:국제측지학협회) 및 IUGG(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국제측지학 및 지구물리학연합)가 1979년에 채택한 것으로, 지구의 형상, 중력 정수, 각속도등 지구의 물리학적인 정수 및 계산식으로부터 된다.
GRS80 에서는, 타원체의 형상이나 축의 방향 및 지구 중심을 타원체의 원점으로 정해져 있다. 이 타원체를 GRS80 타원체라고 하고, 현재 지구를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타원체로서 넓게 이용되고 있다.그러나 GRS80타원체는 좌표계에 관해서는 명확하게 결정되어 있지 않다.WGS84 계에서는 물리정수, WGS84타원체와 좌표계가 모두 정의되어 있다. 또한 타원체로서의 GRS80과 WGS84와의 차이는 단반경이 약 0.1mm 다를 뿐이므로 실용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취급하여 계산할 수 있다. 

한국측지계와 세계측지계 비교



4.세계 측지계를 도입하는 이유와 바뀌는 부분
 -GPS좌표와 지도좌표(측지성과)가 실시간으로 완전히 호환 즉 GPS 에 의한 WGS84성과와 한국측지계2002 성과는 동일.
세계측지계가 도입되면 현재 GPS항법(1점측위)에서 동경측지계로의 좌표변환이 불필요, 변환에 따른 정확도 저하와 측지기준계 혼용의 우려가 없어진다.
최근 몇 년간의 세계측지계로의 변경이 국제적인 흐름이고 각국에서는 지도의 측지기준계를 세계측지계로 변경중에 있고 육지의 지도에서는 호주,영국,일본,뉴질랜드 등 약 50개국이 전환을 시작하거나 했고 최근 그 움직임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우리 나라에서도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에 맞추어, 세계 측지계로 이행하는 것이고,해도(국립해양조사원)와 군사지도(육군지도창)에서는 이미 세계측지계로 변경한 바 있다.

-국내의 모든 위치에서 현행의 좌표값(경도,위도 등)이 변경된다. 따라서 측량분야는 물론이고 그 밖의 분야에서도 지금까지의 방식을 변경 또는 기존의 자료의 정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생긴다.
동경측지계가 채용하고 있는 벳셀타원체와 세계측지계에서 채용하고 있는 GRS80타원체는 크기,형상 및 중심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두 측지계에서 기준점성과의 경도,위도의 변화가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발생된다.다른 나라의 경우도 경도,위도의 표시가 변경되었다.

-지도상의 물체는 지도종횡선(map grid)을 기준으로 이동량이 발생하며 지도축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우리나라의 경우에 이동량이 300m 발생한다고 보면 축척 1/500,000에서 6mm 축척 1/50,000에서 6mm의 도상이동이 발생된다.
경위도의 기준이 나라마다 다른 경우에 측지기준계의 차이에 의한 경도,위도의 차이는 나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세계지도에 사용된 지도의 축척은 일반적으로 1/1,000만 이하이므로 지도상으로는 경도,위도의 차이는 0.1mm이하로 되어 지도상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경위도에서 직각좌표로의 계산식은 변화가 없고 달라지는 부분은 타원체의 제원이 벳셀타원체에서 GRS80타원체로 바뀌는 것 뿐이다.투영(TM투영)을 할 때 동경측지계에서는 4개의 투영원점(동부,중부,서부,동해 원점)이 사용되었고 위도는 북위 38도, 경도는 동경125도, 127도, 129도, 131도가 투영기준이었으며, 세계측지계도 동경125 127 129 131도와 북위 38도를 쓰면 된다.

-ITRF계는, 항상 최신의 우주 측지 데이터를 사용해 갱신되어 가기 때문에 향후도 정밀도를 상향하는것 같은 변경이 이루어진다.그러나,그 변화량은 매우 작고, 또, 이미 측량에는 충분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고 있으므로 실용상은 우리 나라의 측지 기준계를 변경할 필요는 없다 


2. 실제사용좌표계

uth_id

paramters (after)

5171

+proj=tmerc +lat_0=38 +lon_0=129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72

+proj=tmerc +lat_0=38 +lon_0=131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73

+proj=tmerc +lat_0=38 +lon_0=125.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74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75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5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76

+proj=tmerc +lat_0=38 +lon_0=129.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77

+proj=tmerc +lat_0=38 +lon_0=131.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78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2096

+proj=tmerc +lat_0=38 +lon_0=129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2097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2098

+proj=tmerc +lat_0=38 +lon_0=125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4162

+proj=longlat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no_defs

5167

+proj=tmerc +lat_0=38 +lon_0=131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68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5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69

+proj=tmerc +lat_0=38 +lon_0=125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5170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nits=m +no_defs



출처: http://www.osgeo.kr/252 [OSGeo(Open Source GeoSpatial) 한국어 지부 - OSGeo Korean Chapter]


한전 ndis 좌표계는 y좌표에서 100,000 더하여 됨

(위에 false northing 1,000,000인데 왜그런지는 모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