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섭신호 (Interference) 란 무엇인가?
원하는 신호(desired signal)의 수신을 방해하는 1.23Mhz 주파수 스펙트럼 안에 존재하는 다른 모든 신호성분을
interference 라고 생각합니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일수도 있고 자연현상적(noise floor, 번개, etc.)으로
생긴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desired signal과 동일한 스펙트럼 상에 있는 신호임으로 보통은 동일한 통신 시스템에서 만들어 졌겠죠.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 만들어져도 harmonics 가 우현히 그 주파수대에 잡힐 수도 있고요.
interference 가 높으면 성능의 열화가 옵니다. Total noise spectral density No가 높아져서
Eb/No가 낮아집니다. 복조를 해도 Frame 이 깨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통화는 가능하나 통화품질이 나빠집니다. 동일
통화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Eb를 높혀야 합니다. P_tx = Eb * Rb 임으로 송신전력이 높아지게 됩니다.(where Eb:
bit energy, Rb: bit rate) 높아진 송진전력은 다른 수신기에게는 interference 로 작용하여 다른
수신기들을 위한 전력을 또 올리는 악순환이 시작됩니다.
# CDMA 는 interference limit system 이라는 말의 뜻은?
CDMA 시스템의 용량을 제한하는 가장 큰 요인이 무엇인가하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 noise limit system 과 비교해서
말하곤 합니다. 시스템에 존재하는 thermal noise 증가에 의한 영향보다 간섭신호의 증가가 용량 포화를 가져온다는 의미
입니다. 용량의 결정을 interference가 하기 때문에 interference의 분석이 중요합니다. 분석해야
iterference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통화품질의 향상과 용량의 증가, coverage의 증가 및
data rate의 상승등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interference 종류는 무엇이 있나?
deried signal 이 아닌 다른 신호성분임으로 MS 관점에서 BS 관점에서 아래와 같이 나누기도 합니다.
TDD(time division duplexing) CDMA 시스템에서는
adjacent BS to home MS
adjacent MS to home BS
adjacent BS to home BS
adjacent MS to home MS
아래 그림에서 I 라고 표시한 부분입니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CDMA에서는 보통
adjacent BS to home MS
adjacent MS to home BS
만 고려하죠. 순방향과 역방향의 주파수대가 서로 많이 이격되어 있음으로 인접 기지국에서 홈 기지국으로 간섭은 적다고 봅니다. 비슷하게 인접 단말이 송출한 신호가 홈 단말의 수신신호로 잡히지 않을테구요.
# Eb/No 라는 것은 무엇인가?
ebno(에브노) 라고 읽습니다. bit enery 대 noise power spectral density 입니다. 수신
Eb/No 가 높으면 BER(bit error rate) 과 FER(frame error rate) 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통신
품질이 좋아집니다.
BER vs. Eb/No 혹은 보다 실용적으로는 FER vs. Eb/No 를 이용하여 그 통신 시스템을 평가합니다. 동일
Eb/No 에서 FER 이 줄어드게 하는(같은 의미로 동일 FER를 나타내는데 더 작은 Eb/No 면 되는) 것을 보임으로써 새로
제안한 기술의 성능 향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동일 품질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Eb/No를 요구 Eb/No(required Eb/No 혹은 target Eb/No) 라고 합니다.
더 낮은 Eb/No에서도 동일한 FER을 보인다고 하면 요구 Eb/No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required Eb/No가
낮아지게 했다는 것은, Eb를 낮출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결국 송신전력을 줄일 수 있게 합니다. tx power을 낮추는 것은
다른 사용자나 시스템에게 끼치는interference 를 줄이게 합니다. 수신된 신호중 desired signal 이 아니면 모두
interference 니까요. 이것은 용량의 확대를 가져옵니다. 혹은 coverage 의 확장을 가져옵니다.
Interference 를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No를 줄이는 방법을 찾아 내는 것입니다. 그러면 요구 Eb/No 가 더 낮아 질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Channel coding 방법중에는 Turbo coding 이 Convolutional coding 보다 required Eb/No 가 더 낮습니다.
Sectorized Antenna 를 사용하면 Omni Antenna를 이용한 것보다 interference가 줄어들게 됩니다.
Power control을 잘 한다는 것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required Eb/No 정도만 되도록 송신전력을 콘트롤하는 것입니다
WCDMA Ec/Io = 수신신호 / 전체수신(RSSI) RSCP = Receive Strength Carrier Pilot ??? --> This is RSSI in WiMAX, but WCDMA's RSSI is total receive signal from other BS. RSRP: This word is from LTE similar to RSCP Spectrum Analyzer: Agilent, Advantest Sitemaster